Linux 실습일지

리눅스에 LVM 설정하기

s-jiun 2023. 2. 1. 19:14
반응형
반응형

이번에는 리눅스에 LVM을 설정하는 실습을 수행하였다.

우선 VMware로 들어가서 Server(b)에 각각 2GB, 3GB짜리 하드디스크를 추가한다. 그럼 아래와 같이 하드디스크 sde, sdf가 새로 추가된 것을 터미널에서 확인할 수 있다.

리눅스에 장착된 디스크 이름을 확인했으면 이제 각 하드디스크에 대한 파티션을 설정해준다.

이때 이전에 RAID 설정해줄 때와 다른 점은, 파티션 타입을 8e(Linux LVM)으로 설정해준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apt update를 진행해준 뒤 lvm2를 설치한다.

다음으로 pvcreate 명령어로 각 파티션에 대한 물리적인 볼륨(PV)을 생성하고 vgcreate 명령어로 이들을 묶어 볼륨그룹(VG)을 생성한다. 아래 사진은 sde1, sdf1로 myVG라는 볼륨그룹을 생성한 뒤 vgdisplay 명령어로 잘 생성되었는지 확인한 모습이다.

이어서 lvcreate 명령어로 논리볼륨(LV)을 생성해준다. 이번 실습에서는 논리볼륨을 총 4개 생성해주었다. myLV1의 경우 1GB, myLV2의 경우 1GB, myLV3의 경우 2GB의 크기로 설정해주었으며 myLV4의 경우 1GB를 할당해주려 했으나 공간이 부족하여 남은 용량 전체(1GB보다 약간 부족함)를 할당해주었다.

다음으로 각각의 논리볼륨에 대하여 파일시스템을 생성해준다.

그리고 이들을 마운트해 줄 디렉토리를 생성한 후 각 파일시스템을 마운트한다.

이제 마지막 단계이다. 부팅 시 자동으로 이들이 마운트될 수 있도록 /etc/fstab에 각각의 파일시스템 내용을 추가해준다.

이를 저장하고 재부팅해주면 아래와 같이 논리 볼륨들이 정상적으로 마운트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