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Linux 23

Linux 실무환경 구축하기 (Final Report)

이번 포스트는 제가 스타트업의 서버 담당자라고 가정하고 Linux 서버 실무환경을 구축해보는 과정을 담은 것입니다. 스타트업은 SUMMER(빙수 개발 회사)라고 가정했습니다. 왜냐구요? 그냥 갑자기 빙수가 먹고 싶었어요.​ 서버 동작 영상 우선, 구축한 서버들이 동작하는 모습을 녹화한 영상들이다. 마지막 영상은 최종적으로 구축된 환경에서 웹 서버, 방화벽, 메일서버, 원격 접속이 수행되는 모습을 한 번에 녹화한 것이다.​1. 구축된 웹 서버에 접속하는 모습웹 서버는 server(b)에 구축하였으며, 호스트 컴퓨터 주소창에 입력한 IP주소는 외부 인터넷과 연결된 방화벽 컴퓨터 ens32의 IP주소이다.  2. DNS 서버가 구축된 모습DNS 서버는 방화벽이 구축된 컴퓨터(server)에 함께 구축하였다. ..

Linux 실습일지 2023.02.02

Linux 실습일지(14) - 방화벽과 Docker

실습과제 결과 이번 실습과제는 방화벽 컴퓨터를 구축하고 사설 IP를 통해 Server(b)에 구축된 웹 서버에 접속해보는 것이었다.아래 사진은 Client에서 내부 웹 서버로 접속해본 것인데, 호스트 컴퓨터에서 접속하는 것은 성공하지 못했다...실패 원인에 대한 분석은 아래 [문제가 발생하거나 고민한 내용]에서 작성하였다.(+ 21.06.13 추가) 문제의 해결방법을 찾았다! 해결한 내용은 [문제가 발생하거나 고민한 내용]에 작성해놓았다.​ 새로 배운 내용 이번 수업에서는 방화벽과 도커에 대해 학습하였다. 방화벽이란 네트워크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을 의미한다. 우리는 방화벽에 설정된 일정한 규칙을 통해 방화벽 내부의 사설IP에서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다. 방화벽은 구현..

Linux 실습일지 2023.02.02

Linux 실습일지(13) - Web Server

실습 과제 이번 실습 과제는 리눅스 server(b)에 웹 페이지를 구축하는 것이었다. 이번에는 워드 프레스를 이용하여 웹 페이지를 구축해보았다. 아래 사진은 server(b)에 웹 페이지를 구축한 후 이를 캡처한 것이다. ​ 새로 배운 내용 이번에는 웹 서버 구축에 대해 배웠다. 웹 서버란 클라이언트로부터 HTTP 요청을 받아 HTML과 같은 웹 페이지를 반환하는 프로그램이다. 웹 서버를 구축하는 프로그램에는 APACHE와 NGINX가 가장 유명하며, 이번 실습에서는 APACHE를 사용하였다. APACHE는 오픈소스 HTTP server의 일종으로서 MPM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하고 있고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스레드 형태의 서버 프로세스로 생성하여 처리한다. 이번 실습에서는 LAMP(Linux, Apach..

Linux 실습일지 2023.02.02

Linux 실습일지(12) - Mail Server

실습과제 결과 이전 실습과제는 server(b)에 mail.it.ac.kr이라는 메일 서버를 추가로 구축하여 mail.cs.ac.kr과 메일을 주고받아 보는 것이었다. server와 server(b)에 각각 peng과 soo라는 계정을 생성하여 client(kubuntu)의 evolutiond으로 서로 메일을 주고 받아 보았다. 메일을 주고받는 모습은 아래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새로 배운 내용 이번 시간에는 메일 서버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배울 수 있었다. 우선 메일 송수신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에는 SMTP, POP3, IMAP의 세 가지가 있다. SMTP는 client가 메일을 보내거나 메일 서버끼리 메일을 주고 받을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이고, POP3의 경우 메일 서버에 도착해있는 메일 ..

Linux 실습일지 2023.02.02

Linux 실습일지(11) - DNS Server

실습 과제 이번에는 실습과제로 라운드 로빈 방식의 네임 서버를 구현해 보았다. 우선 Server(b)에 Round Robin DNS를 설정한다. vi에디터로 /etc/bind/named.conf.local 파일을 아래와 같이 편집한다.다음으로, vi에디터로 /etc/bind/(네임서버이름).com.db 파일을 아래와 같이 생성한다. 이때, webserver 옆의 3개의 IP주소는 본인이 자유롭게 입력하면 된다. 나의 경우 수업 시간에 실습할 때 사용하였던 교보문고, 알라딘, yes24의 IP주소를 그대로 다시 사용하였다.파일을 저장한 후 named-checkconf 명령을 입력하면 생성한 파일 내용 중에 문법적인 오류가 없는지 검사할 수 있다.이후 systemctl restart named 명령을 입력하..

Linux 실습일지 2023.02.02

Linux 실습일지(10) - VNC Server

실습과제 결과 실습과제로 VNC 서버를 구축하여 Client(Kubuntu 데스크톱)에서 Server(Linux 데스크탑)을 원격 접속해보았다.우선 Linux 데스크톱에 접속하여 '설정'에서 화면 공유를 켜고 암호를 설정해준다. 그 후 터미널에서 dconf-editor를 설치해준다.dconf-editor를 실행한 후 require-encryption의 설정을 해제해주고 ufw allow 5900/tcp 명령어로 방화벽 설정을 변경해준다.다음으로 Kubuntu에 접속한 뒤 터미널을 열어 apt update를 해주고 xtightvncviewer를 설치한다.마지막으로 vncviewer (IP주소) 명령을 입력하면 해당 IP주소의 컴퓨터로 원격 접속을 할 수 있게 된다. 아래 영상은 Kubuntu를 통해 나의 ..

Linux 실습일지 2023.02.02

04 프로그램 개발 환경 구축

1. 우선 root 계정에서 curl(URL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라이브러리)과 git(소스 코드를 관리하는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을 설치한다. 2. sh -c 'curl https://packages.microsoft.com/keys/microsoft.asc | gpg --dearmor > /etc/apt/trusted.gpg.d/microsoft.gpg' 를 입력한다.3. sh -c 'echo "deb [arch=amd64] https://packages.microsoft.com/repos/vscode stable main" > /etc/apt/sources.list.d/vscode.list' 를 입력하고 apt update를 수행한다.​4. 마지막으로 apt install code를 입력하면 ..

Linux 실습일지 2023.02.02

03 백업 자동화

1. 우선, systemctl status cron 명령을 입력하여 cron의 동작 여부를 확인한다.2. nano 에디터로 /etc/crontab 에 들어가 맨 아랫줄에 아래 내용을 입력한다.#01 05 20 * * root /root/myBackup.sh3. /root 위치에 myBackup.sh 파일을 생성한다.4. myBackup.sh를 실행할 수 있도록 chmod +x myBackup.sh 명령으로 속성을 변경한다.5. mkdir 명령어로 /raid6/backup 디렉토리를 생성한다.​6. timedatectl set-ntp 0을 입력하여 시간 동기화를 해제한 후 시스템 날짜/시간을 적당하게 변경한다.​7. systemctl restart cron 명령을 입력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난 뒤 ls -l..

Linux 실습일지 2023.02.02

02 RAID6 구성

1. 우선 VMware에서 server에 1TB짜리 하드디스크 5개를 추가한다.2. 다음으로 5개의 하드디스크에 각각 아래와 같이 파티션을 생성해준다.3. mdadm 패키지를 설치해준다.4. mdadm --create /dev/md6 --level=6 --raid-devices=4 /dev/sdc1 /dev/sdd1 /dev/sde1 /dev/sdf1 /dev/sdg1 명령을 입력하여 raid6를 구성한다.5. mkfs.ext4 /dev/md6 명령으로 /dev/md6를 포맷한다.6. mkdir 명령어로 /raid6 디렉토리를 생성하고 mount /dev/md6 /raid6 명령으로 /dev/md6를 마운트한다.​7. nano 에디터로 /etc/fstab을 열어 맨 아래에 /dev/md6 /raid6 e..

Linux 실습일지 2023.02.01

01 실무 환경의 우분투 설치(feat. VMware)

1. 우선, 우분투를 설치한다. 아래 링크를 따라 들어가면 우분투 데스크톱 버전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https://ubuntu.com/#download Enterprise Open Source and Linux | UbuntuUbuntu is the modern, open source operating system on Linux for the enterprise server, desktop, cloud, and IoT.ubuntu.com 2. 컴퓨터에 Server폴더를 하나 생성하고 VMware에서 'Server'라는 새로운 가상머신을 하나 추가해준다. 3. Customize Hardware에서 아래와 같이 설정을 변경해주었다. 사용자 필요에 따라 설정은 마음대로 변경해주면 된다. 또한 기존에 설..

Linux 실습일지 2023.02.0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