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RAID 4

02 RAID6 구성

1. 우선 VMware에서 server에 1TB짜리 하드디스크 5개를 추가한다.2. 다음으로 5개의 하드디스크에 각각 아래와 같이 파티션을 생성해준다.3. mdadm 패키지를 설치해준다.4. mdadm --create /dev/md6 --level=6 --raid-devices=4 /dev/sdc1 /dev/sdd1 /dev/sde1 /dev/sdf1 /dev/sdg1 명령을 입력하여 raid6를 구성한다.5. mkfs.ext4 /dev/md6 명령으로 /dev/md6를 포맷한다.6. mkdir 명령어로 /raid6 디렉토리를 생성하고 mount /dev/md6 /raid6 명령으로 /dev/md6를 마운트한다.​7. nano 에디터로 /etc/fstab을 열어 맨 아래에 /dev/md6 /raid6 e..

Linux 실습일지 2023.02.01

Linux 실습일지(6) - Linux LVM

실습과제 이번 실습과제로는 Server(b)에 LVM을 설정하는 실습을 수행하였다. 과제 수행 결과는 아래와 같다.LVM을 설정하는 자세한 과정은 블로그에 따로 작성해두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면 해당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https://devlog-j.tistory.com/12 리눅스에 LVM 설정하기이번에는 리눅스에 LVM을 설정하는 실습을 수행하였다. 우선 VMware로 들어가서 Server(b)에 각각 2GB, 3GB짜리 하드디스크를 추가한다. 그럼 아래와 같이 하드디스크 sde, sdf가 새로 추가된 것을 터미널devlog-j.tistory.com  새로 배운 내용 이번 수업에서는 RAID1과 RAID0의 장점을 결합한 RAID1+0과 LVM을 설정해보았다. 또한 쿼터를 설정하여 각 사용자별로..

Linux 실습일지 2023.02.01

Linux 실습일지(5) - Linux RAID

실습과제 실습과제로 Server(b)에 RAID 5를 구성해보았다. 해당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들어가보면 확인할 수 있다.https://devlog-j.tistory.com/10 리눅스에 RAID 구성하기 (RAID 5)RAID 5를 선택한 이유 RAID는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를 하나의 하드디스크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번 실습 시간에는 리눅스에 Linear RAID, RAID0, RAID1, RAID5를 구성해보고 각각의 차이를 비교해devlog-j.tistory.com  새로 배운 내용 이번 수업시간에는 리눅스의 파일 시스템과 하드디스크의 구성 요소(플래터/섹터/자기 헤드/스윙 암), 디스크 관리에 대해 배웠다.하드디스크를 관리하는 방법에는 SATA 와 SCSI가 있는데, SATA의 경우..

Linux 실습일지 2023.02.01

리눅스에 RAID 구성하기 (RAID 5)

RAID 5를 선택한 이유 RAID는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를 하나의 하드디스크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번 실습 시간에는 리눅스에 Linear RAID, RAID0, RAID1, RAID5를 구성해보고 각각의 차이를 비교해보았다. 모두 각자만의 장점이 존재하는 방식들이지만, 나는 아무래도 RAID 5가 가장 괜찮은 RAID 방식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RAID 5의 경우 패리티 데이터의 저장 공간을 따로 확보해놓기 때문에 이를 통해 결함을 어느정도 허용한다는 장점이 있다. 사실 이건 굉장히 중요한건데, 결함을 허용하지 않는 Linear RAID와 RAID 0의 경우 데이터가 저장된 공간에 문제가 생기면 데이터를 영영 복구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위험부담이 따른다. 하지만 RAID 5의..

Linux 실습일지 2023.02.0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