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pringBoot 3

Spring Security

※ 이번 포스트는 책의 5장을 공부하면서 정리한 것입니다. 소스코드는 책을 참고해주세요  Springboot 1.5 vs Springboot2.0 OAuth2 연동 방법이 1.5에서 2.0으로 넘어오면서 크게 변경되었으나 spring-security-oauth2-autoconfigure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1.5의 설정방식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하지만 아래와 같은 이유로 Springboot 2.0 방식인 Spring Security Oauth2 Client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스프링 팀에서 기존 1.5에서 사용되던 spring-security-oauth 프로젝트는 유지 상태로 결정했으며 더 이상 신규 기능을 추가하지 않고 버그 수정 정도만 진행하는 것으로 결정했다. 신규 기능은..

SpringBoot 2023.02.04

Mustache로 화면 구성하기

※ 이번 포스트는 책의 4장을 공부하면서 정리한 것입니다. 소스코드는 책을 참고해주세요  템플릿 엔진이란 지정된 템플릿 양식과 데이터가 합쳐져 HTML 문서를 출력하는 소프트웨어​● 서버 템플릿 엔진- 서버에서 구동되는 템플릿 엔진- ex) JSP, Freemarker 등- 예를 들어 JSP의 경우 서버에서 JAVA 코드로 문자열을 만든 뒤 이 문자열을 HTML로 변환하여 브라우저로 전달​● 클라이언트 템플릿 엔진- 브라우저에서 화면을 생성 → 서버에서 이미 코드가 벗어난 경우- 서버에서는 Json, Xml 형식의 데이터만 전달하고 이를 클라이언트에서 조립- ex) React, Vue 등​ 머스테치란 Ruby, Javascript, Python, PHP, JAVA, Go, ASP 등 현존하는 대부분의 ..

SpringBoot 2023.02.04

Springboot에서 DB다루기(with JPA)

※ 이번 포스트는 책의 3장을 공부하면서 정리한 것입니다. JPA란? 서로 지향하는 바가 다른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중간에서 패러다임 일치를 시켜주는 기술. => 개발자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을 하면, 이에 맞게 JPA가 SQL을 생성하여 실행해줌! 더는 SQL에 종속적인 개발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 Spring Data JPA의 장점1. 구현체 교체의 용이성 ( Hibernate외에 다른 구현체로 쉽게 교체 가능)2. 저장소 교체의 용이성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외에 다른 저장소로 쉽게 교체 가능 -> 의존성만 교체하면 된다!)  JPA Entity 클래스 생성 시 주의사항 - Setter 메소드를 만들지 않는다getter, setter를 무작정 생성할 경우 ..

SpringBoot 2023.02.0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