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1. 우선 VMware에서 server에 1TB짜리 하드디스크 5개를 추가한다.


2. 다음으로 5개의 하드디스크에 각각 아래와 같이 파티션을 생성해준다.

3. mdadm 패키지를 설치해준다.

4. mdadm --create /dev/md6 --level=6 --raid-devices=4 /dev/sdc1 /dev/sdd1 /dev/sde1 /dev/sdf1 /dev/sdg1 명령을 입력하여 raid6를 구성한다.

5. mkfs.ext4 /dev/md6 명령으로 /dev/md6를 포맷한다.

6. mkdir 명령어로 /raid6 디렉토리를 생성하고 mount /dev/md6 /raid6 명령으로 /dev/md6를 마운트한다.
7. nano 에디터로 /etc/fstab을 열어 맨 아래에 /dev/md6 /raid6 ext4 defaults 0 0 을 추가해준다.

8. mdadm의 버그를 예방하기 위해, mdadm --detail --scan 명령을 입력하면 생성한 raid6의 ARRAY 내용이 나온다. 이를 복사한 뒤, gedit으로 /etc/mdadm/mdadm.conf 를 열어 해당 내용을 맨 아래에 붙여넣고 'name=server:숫자'를 지운다.

9. 마지막으로 update-initramfs -u 명령을 입력하여 설정한 내용을 적용시킨 뒤 재부팅한다. 아래 영상은 우분투를 다시 시작하여 raid6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모습을 녹화한 것이다.
반응형
'Linux 실습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04 프로그램 개발 환경 구축 (0) | 2023.02.02 |
---|---|
03 백업 자동화 (0) | 2023.02.02 |
01 실무 환경의 우분투 설치(feat. VMware) (0) | 2023.02.01 |
Linux 실습일지(8) - KDE, 리눅스 사용자 권한 (0) | 2023.02.01 |
Linux 실습일지(7) - Bash Script (0) | 2023.02.01 |